책(5)
-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 1부 - 2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 저자 - 안광복 챕터별 기억해두고 싶은 문장들 정리 [에피쿠로스]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쾌락을 좇고 고통은 멀리한다. 따지고 보면, 선은 쾌락을 많이 주는 것에 지나지 않고 악은 고통스러운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다면 고통을 줄이고 가능한 한 쾌락을 많이 얻는 것이 선하고 좋은 삶이다. 이 점에서 그는 '쾌락주의자'로 불린다.우리가 가장 큰 즐거움을 얻으려면 고통이 없는 쾌락만 추구해야 한다.철학을 함으로써 불필요한 욕망을 없애고 사람들과 우정을 나누며 소박하게 산다면, 어떤 욕망에도 흔들리지 않으며 고통도 없는 상태인 아타락시아에 이를 수 있다.사람들은 흔히 에피쿠로스의 철학을 쾌락주의라 부른다. 하지만 에피쿠로스 철학은 가늘고 모질게 살라고 강요하는 금욕주의에 더 가깝다. ..
2025.04.16 -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 1부 - 1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 저자 - 안광복 챕터별 기억해두고 싶은 문장들 정리 아 타이핑 열심히 했는데 다 날아가서 다시 씀ㅎ [탈레스]과학이 발달한 지금에 와서는, 만물의 근원이 물이라는 주장은 의미 없는 엉터리일 뿐이다. 그러나 철학 역사로 볼 때 이 주장은 매우 가치 있다. 철학 역사에서 최초로 던져진, 눈에 보이는 여러 사물과 변화를 넘어 세계는 과연 무엇으로 되어 있는지에 답하는 본질적인 주장이기 때문이다.지금에 와서 탈레스가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한 이유가 무엇인지는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 철학 역사에서 의미 있는 점은 오직 그가 논리를 따져 사회에 퍼져 있는 믿음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관찰 결과를 종합하여 세상의 근본적인 모습에 대해 결론 내리는 '철학적인 사고'를 했다는 사실 뿐이다...
2025.04.12 -
일리아스 등장인물 정리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초반부를 읽고 있는데, 고대 그리스 서사시답게 등장인물도 많고 인물 간의 관계도 복잡하다.그리고 인물들을 지칭할 때 '~의 아들' 식으로 표현을 한다거나, 각 인물이 어느 진영(그리스/트로이)에 속했는지를 나타내는 방식이 헷갈린다. 매우...그러다보니 내용이 이해도 안되고 잘 읽히지도 않아 지피티의 도움을 받아 등장인물을 정리해본다. 1. 그리스 진영 (다나오스 / 아카이아인 / 아르고스인) 이름 역할 / 신분 특징 자주 쓰이는 표현 아가멤논 총지휘관 / 미케네 왕 권위적이고 고집 셈, 아킬레우스와 갈등 아트레우스의 아들 메넬라오스 스파르타 왕 / 아가멤논 동생 ..
2025.04.09 -
한국 근현대 소설 - 슬픔 편
한국 근현대 소설은 특히나 꿈도 희망도 없는 내용이 많은 것 같다. 시대 자체가 힘들었던 만큼 그 시대를 반영하는 작품들도 자연스럽게 무거운 주제와 절망적인 인물들을 많이 다루게 되는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읽으면서 감정소모도 많고 스트레스 받았다.꺼래이 - 백신애여성 작가가 여성을 그리는 방식은 남성 작가와 확연히 다르다. 흔한 근현대 소설에서 느껴지는 불편함이나 찜찜함 없이, 온전히 이야기 자체에 몰입할 수 있었다. 여성 인물을 다루는 방식에서 오는 불쾌함이 없어 감상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아 좋았다배따라기 - 김동인열등감에 찌든 찌질이가 사람도 죽게한다있을 때나 잘하지 다 지나고 염병천병..금 따는 콩밭 - 김유정누굴 탓하리오만무방 - 김유정암울하고 비참하고..날개 - 이상‘나’가 직업없고 현실감각..
2025.01.29 -
한국 근현대 소설 - 사랑 편
연초에 올해 읽을 독서 목록을 정했었다목록 중 하나인 일리아스를 읽다가 흥미가 안생겨서오랜만에 한국 근대소설을 읽을까 하여 한국 근현대 단편소설 도장깨기를 하고있다예전에 읽었던 소설도 포함되어 있는데 거의 이십년 전에 읽어서 그런지 그 때 느꼈던 감상과는 또 다르게 읽혀졌다사랑 관련 단편소설의 짧은 감상평을 남긴다소나기 - 황순원순수하고 아름다운 첫사랑 이야기“난 보랏빛이 좋아”이 문장이 소녀의 죽음을 암시한다고 교과서에서 배웠던 기억이 나는데 그 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띠용이다 보라색이 왜 죽음을 암시하는 건지..? 예전에는 보라색이 부정적인 색이었나? 아님 그냥 교과서 제작자?의 주관이 들어간 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동백꽃 - 김유정넌씨눈이 답답한 상여자의 애정 표현봄봄 - 김유정김유정 작가의 작..
2025.01.25